K-PACKET 3
아마존닷컴의 배송추적 강제화가 중국, 홍콩 셀러들에게만 우선 적용된 이유?
제목 내용대로 아마존닷컴에서 의무화를 내년 2월부터 시작한다고 하는것은 다들 알고 계실겁니다. 그런데 이러한 정책과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아마존US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뭔가 그 배경에 있는 의미를 해석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될것 같아 공유합니다. Amazon USA는 작년부터 미 의회에 연방세금으로 운영되는 USPS의 China Post와의 계약이 덤핑 계약이라며, 가격인상을 요구하라는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. 구체적으로는 중국, 홍콩 셀러들이 이용하는 […]
스웨덴 포스트 서비스 소개 – RR등기, K-PACKET과 비교표
요즘 관심이 많은 미국으로 RR 배송 관련해서 대안으로 검토할 수 있는 스웨덴 포스트 서비스를 소개합니다. 쉬운 이해를 위해 한국 우체국과의 비교로 작성했습니다. 서비스 종류 KPOST 무등기 KPOST 등기 K-PACKET 스웨덴포스트 무등기 스웨덴 포스트 등기 이용 전국 우체국 전국 우체국 epost.go.kr helloship.com helloship.com 픽업 불가 불가 가능 제한적인 제공 제한적인 제공 통관 CN22 CN22 CN22 CN22, […]
우체국 K-PACKET 서비스에 대해서
항공소형 포장물의 급증으로(이베이, Qoo10덕분에) 우체국에서 K-PACKET 이라는 서비스가 나왔습니다. 그런데, 이 서비스를 하면서 기존의 항공소형포장물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유지하는 점은 이해가 안되네요. 항공소형포장물+RR등기=K-PACKET이기 때문입니다. 전산화가 안되어있던 Small Packet(항공소형포장물)을 전산화하면서 가격은 크게 올리고 이름을 K-PACKET이라 하니.. 셀러들의 이용이 많을까 의문입니다. 또한, 우체국에서 개발한 전산 시스템이다 보니, 역시 EMS처럼 문자코드 문제가 있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. 일본어 등이 […]
인기글


